>
불륜은 많은 예술가의 소재가 되고 있어요. 톨스토이의 안나·카레니나인 남자의 아내에 아들의 어머니인 그녀는 젊은 장교 브론 스키를 역으로 보고 첫눈에 반합니다. 두 사람은 위험한 사랑을 하지만, 결국 시들어 버린 사랑은 파국을 맞이합니다. 멀리 소설 얘기가 아니라도 TV 명명 배우들도 불륜으로 헤어져 주위의 누구도 그 때문에 난리가 났다는 소문도 자주 듣습니다. 사랑의 유효기간은 그렇게 짧은건가? 우리는 혼자만 사랑하면서 살 수 없을까?실제 불륜에 관한 데이터를 보면 놀랄 정도에요. 2012년 일본 조사에서 '최근 1년간 정해진 교제 상대 이외의 사람과 성 접촉을 가진 사람'을 물었더니, 남성은 64.3%, 여성은 29.1%가 그렇다고 답했고, 남성의 경우 기혼자는 57.1%가 성접촉을 가졌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일부일처제가 당연한 제도일까. 일부일처제는 사회문화적 산물로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과거의 부부관계는 자손을 위한 계약에 가까워 일부다부가 권장되었고, 현재 이슬람 문화권은 일부다처, 브라질과 야키족, 인도의 라다크족 등은 일부다부의 사회입니다" 일부일처제가 보편적인 제도라고는 할 수 없고, 더 이상 불법이 아니었는데도 우리는 불륜을 비윤리적이라는 이유로 맹비난을 퍼붓습니다. 그러나 그 속마음은 '몰래, 남보다 좋은 경험'을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질투의 감정 때문이라고 합니다. 생활비와 양육비 부담 없이 연애만 하고 즐기는 것에 대해 무임승차라고 판단하고, 이런 질투로 이런 무임승차자를 제재하는 겁니다. 이처럼 불륜을 비난하면서도 외도와 불륜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이는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AVPR1A라는 유전자의 장단기에 따라 불륜형과 정숙형으로 나뉘는데, 이 유전자 차이의 비율은 거의 반반이기 때문에 본래 일부일처제와 맞지 않는 성향의 사람이 절반 정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물론 불륜은 유전자에 의한 영향만으로 볼 수 없지만, 후천적 요인으로 어린 시절의 애착 타입에 따라 회피형, 안정형, 불안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회피형인 사람은 가벼운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어서 난교를 부리고, 불안형인 사람은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섹스를 하는데, 현재 파트너에게 거절당했다고 느낄 때 애정을 줄 만한 상대가 나타나면 그쪽으로 마음이 기울어진다고 합니다. 불륜이 단순히 그 사람의 윤리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자와 호르몬, 그리고 환경에 의해 형성된 성향의 문제라면 불륜은 절대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불륜을 생활비와 양육에 대한 무임승차로 비난한다면 그에 대한 고민을 덜어주면 불륜을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생각도 줄어들지 않을까? 실제로 프랑스에서는 남녀 모두 육아 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임신 출산의 모든 의료비를 국가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아이가 3살이 되면 보육시설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혼외자녀에 대한 차별이 사라지고 출산율이 높아져 현재 신생아의 50% 정도가 혼외자녀입니다. 이는 영국과 북유럽 국가들도 비슷한 수치입니다. 저자는 불륜 유전자는 앞으로도 일정 비율로 계속될 것이고, 이를 근절할 수 없기 때문에 불륜을 지나치게 악으로 공격하거나 부부는 이래야 한다고 규정할 필요도 없다고 말합니다. 대신 어떻게 불륜과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 책을 읽고 이것이 나의 상황이 되면 나는 상대를 용서할 수 있을 정도의 아량은 없겠지만, 사람의 유전자와 환경에 따라 성향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불륜 유전자이든 정숙한 유전자이든 비슷한 사람을 만나야 상대에 대해 확인하고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